영혼과 삶/마흔에 읽는 논어

제1편 學而 6장 - 삶이라는 실천에 대하여

그랑블루08 2013. 11. 28. 21:57

 

 

<유리창 너머 동이 터오는 새벽하늘>

 

 

 

 

學而 第一

 

6장

 

子曰 弟子入則孝하고 出則弟하며 謹而信하며 汎愛衆호되 而親仁이니 行有餘力이어든 則以學文이니라

(공자가 이르기를,

제자는 들어가서 효도하고, 나와서는 공경하며, 정직히 행하고(행실을 삼가고) 성실하게 하며

널리 사람을 사랑하되 어진 이를 가까이 해야 하니,

이것을 행하고 여력이 있으면 이로써 文을 배우느니라.)

 

 

6장은 실천에 관한 내용이다.

공자는 배움 이전에 실천을 강조한다.

효도와 공경은 가장 기본적인 윤리로 가르친다.

거기에 더해, 행동에 있어서 정직하게 해야하며, 성실해야 하고, 사람을 사랑하면서도 어진 사람을 늘 가까이에 두는 것.

그것을 행함이라 보고 있다.

또한 이를 모두 행한 후에, 남은 힘이 있으면 그 때 글을 배우라고 권한다.

이에 대한 程子와 洪興祖의 주석을 보면, 좀 더 이해할 수 있다.

 

謹者는 行之有常也요 信者는 言之有實也라

(謹이라는 것은 행함에 항상 한결 같아야 하는 것이고,

信이라는 것은 말에 성실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 아래 주석을 보면 謹은 常(항상 상)에 대입되어 있다.

즉 행하는 것에 늘 한결 같아야 한다는 것.

변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

그러면서 이리로 치우치지도, 저리로 치우치지도 않고,

사리사욕에 흔들리지 않고,

늘 한결 같은 모습으로 행하는 것이다.

 

믿음이라는 것은 말에 있어서 성실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實은 열매를 의미한다. 열매로 가득 차다, 곡식이 익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이는 열매가 가득 맺히듯이, 실제가, 실제 열매가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내 말에 실제를 담을 것.

행위와 같은 말을 할 것.

그것이 아닐까 한다.

 

행위라는 것은

효도하고, 사람을 공경하고, 사랑하며,

자신의 행실에 있어서 항상 한결 같고,

말에는 실제, 열매와 같은 성실함을 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서 어진 사람을 가까이 둘 것도 역시 행함에 들어가는 부분이다.

그 이후에야 글을 공부하라 말하고 있다.

즉 행함이 있은 후에 글을 보라는 것이다.

행함 없이 글만 읽는 것. 단순히 공부만 하는 것의 문제를 다음에서 말하고 있다.

 

洪氏曰 未有餘力而學文이면 則文滅其質이요 有餘力而不學文이면 則質勝而野니라

(洪興祖가 말하기를

여력이 있지 않는데 글을 배우면 글이 그 바탕(본성, 품성)을 멸할 것이요, 여력이 있는데 글을 배우지 아니하면 바탕(본성, 품성)이 뛰어나도(승해도) 사리에 어둡고 서투르다.)

 

흥조의 말을 보면 좀 더 명확해진다.

여력이 있지 않다는 것은 결국 제대로 행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제대로 행하지 않고, 내 삶에서 그러한 행함이 없는 상태에서 글을 배우게 되면,

이미 있던 본래 바탕, 본성, 품성도 결국 멸해진다는 것이다.

결국 글이 자신을 망친다는 것이다.

행함 없는 지식은 결국 나를 망친다는 말이다.

 

만약 행함이 있으나 배우지 않는다면,

이는 아무리 자기 스스로 본성이 뛰어나고 인품이 뛰어나도, 사리를 분별하지 못하고 서투를 수밖에 없다.

결국 일을 그르치고, 멀리 내다보지 못해 비루해질 뿐이다.

野는 천박하다, 사리에 어둡다, 서투르다, 비천하다의 의미로 쓰였다.

 

행함 없이 배우기만 한다면, 爲人之學이 되어버린다.

주석에는 행하고 나서 배우는 것을 "爲己之學"이라 했다.

즉 행하고 나서 배워야, 진실로 남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나 스스로를 닦고 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그 행함 없이 배우기만 한다면, 남들에게 보이기 위한, 남들에게 인정받기 위한, 오로지 과시하고 자랑하기 위한 학문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배움이란 낮아짐이다.

實은 열매, 곡식이 익는 것을 말한다.

곡식이 익는 것은 고개를 숙이는 것이다.

단순히 배운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행하고 배워야 진실로 고개를 숙일 수 있는, 그런 열매, 實을 거둘 수 있다.

 

 

 

오늘의 장은 참 어렵다.

내 행함이 온전치 못하기도 하고, 또한 여력도 없는데 배우고 싶어 하는 것이 나의 욕심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행하지 않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다.

내 믿음을 행위로 보여라.

 

그런 가르침과 상통한다.

내게 행함이란 뭘까.

그것을 고민하게 한다.

 

사람을 공경하는 것.

그가 아무리 어리다 해도, 진실로 공경하는 것.

작은 일에 충성하는 것.

내게 맡은 일을 끝까지 불평 없이 해내는 것.

사람을 보는 눈을 키워, 어진 사람을 분별해내는 것.

그리고 그 어진 사람 곁에서 그를 따라 배우고 교제하는 것.

내가 믿는 것을 행하는 것.

그 행함에 있어서 늘 같을 것.

누구라 하더라도, 늘 같다고, 늘 한결 같다고, 말할 수 있도록 행동할 것.

내 사리사욕에 의해서 기준을 바꾸지 말 것.

그 기준을 세웠다면, 내 스스로와도 타협하지 말 것.

 

그리고 내가 대하는 이들을 사랑으로 대할 것.

진실로 진심으로 대할 것.

진심으로 그 사람의 아픔과 현재를 이해할 것.

진심으로 그 사람의 미래를 걱정할 것.

그 마음을 행동으로 표현할 것.

말이 행위가 되게 할 것.

진실로. 실제 하는, 성실한 반드시 지키는 말을 할 것.

 

그리고 그 이후에 공부하고 또 공부할 것.

나를 닦을 수 있는 글을 읽고, 배울 것.

모든 일에 배움의 자세로 임할 것.

군림하지 말 것.

그 누구에게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고개를 숙일 것.

 

이러한 것들인 것 같다.

알고 있으나, 실천하지 못하는 것.

내게 행위란 그런 것이다.

 

네 믿음을 행위로 보이라.

 

역시나 두려운 말씀이다.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행하고, 말하고, 실천하는 것.

 

 

누군가는 말한다.

뭘 그리 어렵게 사느냐고.....

왜 그런 강박에 사로잡히느냐고......

니 스스로의 강요와 강박이 아니냐고......

굳이 그럴 이유가 무엇이냐고......

 

그리 묻는다면, 사실 달리 할 말이 없다.

내가 그리 대단한 존재도 아니고, 뭐 그리 대단한 일을 할 인물도 못 된다.

 

그래도 적어도 한 가지는 알고 있다.

삶은.......그렇게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바르게 사는 삶은........진실로 어렵고 두렵기만 한 것이다.

그러나......능력이 없어도 흉내를 내어보는 것.

어리석어 보여도 바르게 살아보는 것.

아무리 노력해도 미끄러지고 또 미끄러지고, 그렇게 무너져내린다 해도,

한 번.......그 삶을 바르게 살아보고자 노력해보아야 하지 않을까.

 

바르게 사는 삶으로......성공할 수 있다는......그런......놀라운 기적을 한 번 이루어보고 싶다.

 

아니, 말이 잘못되었다.

 

이 어그러지고 불평 많은 세상 속에서, 정직하지 않은 자가 세를 누리는 이 세상 속에서

바르게 살려고 노력하는 삶으로.......성공할 수 있다는......그런 놀라운 기적과 희망을 한 번 이루어보고 싶다.

 

 

그래서 정말 바르게 살아보고 싶다.

내가 그럴 수 있는 그런 힘이 있는지, 그런 용기가 있는지, 그리고 그런 능력이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그래도 한 번 그런 기적 같은 희망을 품어 보고 싶다.

 

 

 

 

더보기

한참 올리지 못했다.

바쁘다는 핑계로 읽지 못했던, 잡고만 있었던 6장을 이제서야 올려본다.

한자 해석 하는 건 참 어렵지만, 한자는 참 특이한 글인 것 같다.

글자 하나가 가지고 있는 뜻이 무궁무진하다.

어차피 오해로 시작하는 해석이니,

나는 내 사정에 맞추어, 내 상황에 맞추어 해석해보고 있다.

한 글자 한 글자 그 글자의 뜻을 전부 살펴 보고, 그것이 가지고 있는 무궁무진한 뜻을 생각해 본다.

그러다 보면, 알지 못했던 깨달음들이 생기는 것 같다.

 

이렇게 천천히 하나씩 해볼까 한다.

못할 때가 있고, 쉴 때가 있겠지만, 언젠가 나는 이 느린 걸음으로 끝을 낼 것이다.

 

느리지만, 끝까지 가는 나만의 저력으로 그렇게 나와의 싸움을 이겨 꼭 끝을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