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눈 [출처] FELIZ NAVIDAD - Boney M(텔존 바나나님 글에서 음악 펌) 우리...똥강생이가 그린 밴.토.밴. 바이러스... 이 그림을 보고...정말 쓰러졌다. 지금은 바탕색이 칠해져 있는데 (윤이는 바탕색이 칠해져 있지 않으면 덜 그렸다고 생각한다 ㅡㅡ;;) 바탕색이 칠해지기 전에 이 그림을 보고...정말 웃겨 죽을 뻔했.. 나/독수리 날다 2008.12.08
[스크랩] [단편소설] 가인(佳人)-下 (For Grand Bleu) “어서오십시오” 거여국의 사신단이 황궁에 도착하였다. 황제와 이녹은 황궁 앞까지 나와 그들을 맞이하였다. 사신은 황제의 앞임에도 잠깐 고개를 숙였을 뿐 그들을 무시한다는 듯 예를 표하지 않았다. 황제는 끓어오르는 화를 꾹 참은 채 만면에 거짓웃음을 띄고는 사신을 궁안으로 안내하였다. .. 선물/작은 이야기 2008.12.08
[스크랩] [단편소설] 가인(佳人)-上 (For Grand Bleu) ※ 이 소설은 그랑블루님을 위해 써내려간 것입니다. 유난히 청명한 하늘이 끊나지 않을 것처럼 이어지는 곳, 서(瑞)국. 평평하게 펼쳐진 정갈한 땅이 바다에 닿아있는 곳. 그래서 대륙의 국가들은 이 곳을 미지(美地)라고 불렀다. 그리고 그들은 이 아름다운 땅을 몹시도 탑내었다. 그 이유에 대해 후.. 선물/작은 이야기 2008.12.08
[스크랩] [구독료 릴레이] 그랑블루님 가락국의 이녹 난!!! 적어도 꿈을 꿀 것이고...희망을 품을 것이오!!! 벽이 있고, 담이 있고...장애물이 있다 하여도... 아직은...그 해답도...그것을 넘을 힘도...대안도 없다 하여도... 그래도...그 희망을....포기하지 않을 것이오!!!! 그대를 향한 나의 마음도... 이 가라가야를 향한 나의 마음도.... 절대로...포기하지 않을.. 선물/선물 2008.12.08
권리 <칠레 라파누이(이스터섬) Moai> 문화 대통령이라 불리는 서태지에 대한 기사가 아주 뜨겁다. 한 마디로 서태지가 PD의 고유 권리까지 넘본다는 것이다. 다음 뉴스 기사만 본다면 서태지가 명백하게 월권행위를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말 그러할까... <연어군의 파닥파닥>(http://byignorance.tistory.c.. 나/나의 이야기 2008.12.06
[스크랩] [가락국팬픽]우리가 서로 사랑한다는 말은 제가 원래..뭐 하나에 삘이 꽂히면 그거에만 집중하는 성격이라.. 결국, 이현과 치수 이야기도 바로 들고와버렸네요. 올리면서도 계속 송구한 맘이 들고...>.< 가락국에 누가 된다면, 정말 바로~ 자삭하겠습니다. 전 왜 늘 이리..메인보다 싸이드에 정이 많이 갈까요..? 쩝.. ;;;;;; <이현과 치수- 우리.. 선물/작은 이야기 2008.12.05
[스크랩] [가락국팬픽]말녀, 용호의 강가가 되다 바쁘신 작가님께 말용&치현 라인 얘기 써달라고 조르는 불경죄를 범한 것을 사죄드리며.. 그래도 자꾸만 두 커플이 눈에 밟히길래.. 목마른 놈이 우물 판다고.. 쓰는 걸 흔쾌히 허락해주신 그랑블루님께 감사드립니다.. 사실, 허락은 받았으면서도..쓰는 내내..(지금까지..) 가락국에 누가될까 마음이.. 선물/작은 이야기 2008.12.05
樂山樂水 <류철님 사진 펌-창녕에서> : 사색의 향기 펌 3.Blue moon<김애라님의 해금연주> 외부를 바라보는 자는 꿈을 꾸고 내부를 바라보는 자는 깨어난다. - 칼 융 - 사색의 향기에서 받은 편지에 담긴 글이었다. 멋진 말이다. 바다와 산을 좋아하는 사람의 차이인 듯하다. 논어 유야(遊也)에 나오는 요산요.. 나/나의 이야기 2008.12.04
글쎄다... 창비 겨울호 올해 창비신인소설상은 수상자가 없다. 응모한 428명의 847편 중 단 한 편도 심사자 마음에 드는 작품은 없었나보다. 심사자들의 말은... 응모작 대부분이 '블로그식 글쓰기'가 연장된 느낌이었다고 한다. 새삼스럽지도 않아진 오래된 이야기라나... 자기만족의 유희로서 기능하고 있는 건 .. 나/나의 이야기 2008.11.30
화 내지 않는 법... <청명한 하늘은...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힘이 된다.> 화 나는 일이 있더라도 화 내지 않는 법... 아...정말 어려운 일이다. 사람들은 저마다 화가 날 때가 있다. 억지로 참기도 하고 다른 일로 풀기도 하고 지인에게 속상함을 하소연하기도 한다. 그렇게 화를 풀어내는 방법에는 사람의 .. 나/나의 이야기 2008.11.25